학부 교과목 / Undergraduate Class

1.

공간조형 

본 강의는 일상 또는 근현대 예술에 나타나는 추상화된 개념을 분석하여, 건축적 요소를 가지고 공간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실습하며 공간에 대한 지각능력 및 잠재력을 발견하고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둔다.
직접적인 건물의 디자인은 아니지만, 인간의 행위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내기 위한 형태의 기초언어를 경험하고, 공간적 의미를 분석하여, 디자인 과정에서 공간 표현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커뮤니케이션의 능력과 더불어 공간디자인의 기초적인 연습과 나아가 건축 전반의 이해를 돕는데 그 목표가 있다.

2.

실내건축스튜디오(1) 

본 강의는 근대 건축가의 다양한 주택작품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적 논의와 비평적 시각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근대 건축가들이 사용한 기둥, 벽, 바닥 등의 디자인 구성요소의 이해를 통하여, 기초적인 공간구성의 기본원리를 습득한다. 또한 공간디자인적 언어의 분석과 다양한 공간에 관한 실습을 통하여 디자인의 기초적인 표현방법과 지식을 배양한다.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근간을 이루는 주거공간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과 주거 유형의 기초적인 분석으로 현대 도시의 환경에 적합한 독창적인 구상을 유도한다.

3.

실내건축구조및재료

건축 및 실내건축구조형식과 구성법에 관한 정확하고 합리적인 이해와 조형적인 특징을 이해하고 각각의 재료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파악함으로서 공간구성원리와 특징을 이해하여 새로운 디자인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능력을 함양한다.

4.

건축과법

건축행위는건축주가 헌법으로 보장받은 고유한 재산권(토지소유권=사용권+처분권)을 행사하는 것이다.건축법은 이 중 개인의 재산권 행사 중 가장 큰 범위인 토지사용권을 공익 목적으로 제한하는 것이다. 공익을 목적으로 개인 토지이용권을 제한하는 일반법은 민법이며, 이에 대한 특별법이 건축법이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건축법"이라 하는 것의 범위는 건축행위와 관련한 모든 규정을 통칭한다고 하겠으나, 본 강의 목표는 협의의 건축법을 한정하여 강의하되, 이를 이해함에 있어 부수적으로 필요한 여타 건축행위와 관련한 법 규정 또한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과목은 건축실무를 위한 준비과정의 한 단계로써 건축법과 제도를 이해하여 현 실정에 맞는 건축설계에의 활용에 있다.

5.

한국전통공간과건축

한국 전통건축은 우리나라의 기후와 풍토에 적응해 온 지혜의 결정인 동시에 우리 민족 고유의 사상과 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사회적 산물이다. 따라서 이는 과거의 계승 뿐 아니라 현재, 미래를 지향하는 창조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이 강의의 목표는 한국 전통건축의 역사와 제반 이론에 관한 개괄적인 소개를 통하여 우리 건축문화가 갖는 특성을 바르게 이해시키는데 목표를 두었다.


AND

대학원 교과목 / Graduate Class

1.

실내디자인특수과제

공간 디자인에 필요한 이론적 학습 및 기술에 관련된 기본 과목들의 지식과 프로젝트 관련 자료 및 기존 실내공간 디자인의 조사, 분석, 비평을 기반으로 실내공간을 디자인하면서 프로젝트의 컨셉의 도출 및 전개에서 최종 3차원의 해결안 제시에 이르는 전 과정을 실습한다.

2.

공간위계연구

공간의 의미에 대하여 제기되어질 수 있는 문제의 정의와 다양한 접근의 관점을 통해 공간이 포괄하는 사회적 의미체계 등 공간에 대한 폭넓은 해석을 다룬다.

3.

문화공간계획론

라이브러리 및 아카이브 시설, 뮤지엄 및 전시시설, 공연시설 등 문화관련 시설의 공간디자인에 필요한 구체적 이론 및 방법을 다룬다.

4.

문화공간디자인연구

시대상황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라이브러리 및 아카이브 시설, 박물관 및 전시시설, 공연시설 등 문화관련 시설의 공간디자인 특성과 경향에 대하여 연구한다.

5.

한국전통공간연구

전통건축을 오늘의 시점에서 재해석하거나 파악하려고 할 때,  쉽게 접할 수 있으면서도 생소한 부재 또는 서구 건축 용어 및 형식에 익숙해진 탓에 한옥의 형식에 낯설어 진 것을 가장 큰 난점으로 꼽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한국 전통건축의 전반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건축의 조형적측면, 구조적측면, 양식적측면 그리고 시대별로 나타나는 건축적 특성을 파악한다.
이를 기초로 한국, 일본, 중국의 건축을 비교분석하여 차이점과 유사점을 파악한다.